한국인의 행복조사

데이터 소개

  • 대한민국 국민의 행복 수준과 불평등의 크기를 측정하고, 행복 결정 요인을 밝히며, 관련 정책의 연구를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함.

  • 2020년 예비조사를 거쳐 2021년 1차 조사가 수행됨.

  • 조사는 국회미래연구원이 수행하며, 자료를 이관하여 한국사회과학자료원에서 자료를 제공함.

  • OECD 주관적 안녕감 측정 가이드라인을 반영하여 국제비교가 가능하며, 행복감의 사회심리적 결정요인의 측정을 위해 태도, 신념 및 사회적 가치관과 사회적 활동 측정 문항을 포함하고, 일상재구성법을 통해 실제로 경험하는 행복의 형태를 측정함.


데이터 특징

  • 조사 대상: 만 15세 이상 가구원(2006년 12월 31일까지 출생한 가구원 모두)

  • 표본추출방법: 다단계층화집락표집

  • 표본 수: 17,357명(월~목요일 수집: 8,351명, 금~일요일 수집: 9,006명)

  • 자료수집주기: 1년

  • 자료수집방법: 가구방문 대인면접조사, 일부 유치조사 및 비대면 웹조사

  • 가중치: 있음

  • 영역별 주요 조사내용

    • 행복 부문: 전반적 행복감 / 삶의 의미, 성취감, 인생 결정 자유, 자신의 삶에 대한 평가

    • 정서 부문: 어제의 감정 / 행복감 / 미소와 웃음 빈도

    • 삶의 만족도: 현재 자신의 사다리 위치(캔트릴), 5년 전후 삶의 만족도, 가족생활/배우자 관계/ 자녀 관계 만족도, 주변 환경 만족도, 일에 대한 만족도

    • 사회심리적 변인: 사회적 가치관, 집단 신뢰도, 단체 활동 및 참여, 타인에 대한 견해,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, 자원봉사활동 및 기부 경험, 개인 성향, 시간을 보내는 방식, 자유롭게 선택하며 원하는 인생, 평등/불평등 인식, 현안 및 조세 부담, 사회 현실에 대한 인식, 지난 한 달간의 감정과 생각

    • 일상 재구성: 어제 하루의 기상 및 취침 시간, 중요하다고 생각한 일(1, 2순위), 중요한 일과 가까운 활동, 중요한 일을 같이한 사람 및 중요한 일을 하면서 느낀 감정

    • 코로나19: 코로나19 유행(2021년 1월 이후) 후 경제활동 변화, 코로나19 유행 이후 소득 변화, 코로나19 관련 인식, 코로나19 백신 접종 경험 및 향후 접종 의향, 지난 2주간 부정 감정 경험


데이터 포맷

  • SPSS(.sav)

  • STATA(.dta)


접속 URL


재난 연구와의 관련성

  •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개인 및 가정에서 경험한 경제활동과 소득 수준의 변화를 감정과 정신건강 측면에서 있음 연계하여 관련성을 살펴볼 수 있음.

  •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향후 접종 의향 등 감염병 예방과 관리가 개인의 성향이나 사회적 규범에 대한 태도와 연결하여 설명할 수 있음.

  • 코로나19 대응 지침과 백신 관련 정보에 대한 이해도, 방역 정책에 관한 태도, 확진자에 대한 태도, 이주민 재난지원금에 대한 태도 등 다양한 위험인식 문항을 포함하고 있음.

  • 가족, 친척, 친구, 지인 등 다양한 사회적 자본이 재난 상황에서 완충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음.


참고자료: 국회미래연구원(2021). 2021년 한국인의 행복조사(1차조사): 기초분석 보고서.